정확한 논리와 방법을 모르고 연수합계법 사례 문제를 접하게 되면 감가상각비 계산 등이 상당히 어려울 수 있습니다. 기초(1월 1일)가 아닌 시점에 취득하여 상각을 시작하는 경우 및 이러한 경우의 처분의 사례를 통해 실력을 향상 시켜 봅시다.
연수합계법 감가상각비 계산의 기본
연수합계법으로 감가상각을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감가상각대상금액(취득원가 – 잔존가치)을 먼저 확실히 한 후, 내용연수와 취득한 시기까지 정확히 파악해야 합니다. 사실 연수합계법뿐만 아니라 정액법, 정률법도 모두 마찬가지입니다.
특히 취득시기와 관련하여, 1월 1일 기초에 취득한 것도 아니고 뜬금없이 5월 1일, 8월 1일과 같이 사업연도의 중간에 취득하게 되는 경우가 상당히 많습니다. 오히려 이러한 사례가 더 일반적일 것입니다. 이렇게 사업연도 중간에 취득한 경우, 1월 1일 기초에 취득했더라면 계산했을 감가상각비에 실제 취득한 일자부터 사업연도 말까지의 기간을 고려해 주면 되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논리는 중도 취득한 첫 번째 사업연도에서 이해 가능한 수준이며, 두 번째 사업연도의 감가상각비는 어떻게 계산해야 할지 상당히 막막할 수 있습니다.
기중 취득한 자산의 연수합계법 감가상각비 계산
1월 1일 기초가 아닌 사업연도의 중간에 취득한 자산의 감가상각비를 계산하는 공식을 알아보겠습니다. 기본적으로 1부터 총 내용연수까지의 연속된 숫자를 더한 금액이 분모입니다. 분자의 경우, 매년 감가상각비를 계산할 때 총 내용연수부터 거꾸로 1씩 빼가는 것입니다. 분모의 값을 쉽게 구하는 법은 아래 설명할 수식에 잘 나타내었습니다. 여기에 실제 취득한 시기를 고려하여 감가상각하는 것입니다.
연수합계법의 감가상각은 말로는 절대로 명쾌하게 설명할 수 없는 부분이 있기 때문에 거두절미하고 사례로 알아보겠습니다. 그냥 아래 사례를 통으로 외워서 무한 반복하시길 바랍니다. 1월 1일이 아닌 4월 1일 취득한 기계장치의 연수합계법 감가상각 사례입니다. 상당히 흔한 사례이면서도, 매우 중요합니다.
연수합계법의 감가상각대상금액은 정액법과 마찬가지로 취득원가에서 잔존가치를 뺀 금액입니다. 정률법하고 다르다는 것을 다시 한번 기억해 보시기 바랍니다. 따라서 취득원가 1,000,000원에서 잔존가치 100,000원을 뺀 900,000원이 감가상각대상금액이 되는 것입니다. 이 감가상각대상금액에서 분모와 분자값을 구하여 감가상각해야 하는데, 중요한 것은 2021년은 4월 1일부터 감가상각을 시작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2021년의 상각기간인 9개월을 고려하여 9개월/12개월 금액을 곱해 준 것입니다. 12개월 중 9개월이 감가상각 대상이라는 것입니다. 여기까지는 어찌어찌 잘 따라올 수 있습니다만 그다음인 2022년부터가 문제입니다. 걱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2021년 감가상각비는 1월 1일에 취득했다면 감가상각했을 비율인 12개월/12개월이 아닌 9개월/12개월을 적용했기 때문에 나머지 3개월/12개월 비율은 2022년도로 이월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굉장히 생소할 수 있지만, 연수합계법 감가상각만의 특유한 계산입니다. 그럼 2021년에 적용할 상각액의 3개월/12개월분을 2022년에 적용했으니, 나머지 9개월 12개월분은 2022년에 적용할 상각액을 반영하면 됩니다. 이렇게 2023년도 마찬가지 논리로 감가상각을 하며, 내용연수 마지막 연도인 2024년의 경우 3개월을 감가상각 대상 기간으로 반영합니다.
실제 여러분들이 접하게 되는 시험 문제에서는 2021년도나 2024년도가 아닌 2022년도 혹은 2023년도의 감가상각비 또는 유형자산의 장부금액, 감가상각누계액을 구하라는 문제가 출제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이것을 응용해서 정말 복잡하게 문제를 꼬아서 얼마든지 낼 수 있기 때문에, 위의 기본적인 사례를 계속적으로 연습하시길 바랍니다.
고급 사례 – 연수합계법과 유형자산 처분
위에서 설명한 주의사항과 공식을 바탕으로 연수합계법과 유형자산 처분과 관련된 아래의 문제를 풀어보시길 바랍니다. 유형자산 처분이익도 아니고, 감가상각비를 구하라는 것도 아니고 당기손익 효과를 구하라고 하였습니다. 게다가 처분도 100%가 아닌 40%만 처분한다고 합니다. 여러분들이 접하는 고급 전문자격 시험의 경우, 거의 이러한 형태로 출제된다고 보면 됩니다. 당황하지 말고 차근차근 전략적으로 접근해봅시다.
우선, 40%를 처분했다고 하니, 기계장치 처분 시점 장부금액의 40%를 구하는 것이 핵심이며, 사례의 처분 거래가 반영된 2023년도의 당기손익 효과는 미처분된 유형자산(60%)의 감가상각비, 처분된 유형자산(40%)의 처분 시점까지의 2023년도 감가상각비(5개월분), 유형자산의 처분이익(또는 손실)을 더하면 되는 것입니다. 복합적으로 이것저것 다 생각을 해야 합니다. 6월 1일 처분된 유형자산의 감가상각비는 5개월 치를 반영한다는 점을 주의해서 풀어보시길 바랍니다. 또한 미처분된 자산의 경우 별도로 월할 하여 상각할 필요가 없이 1년치 상각비를 다 계산해야 함을 주의하십시오.
연수합계법의 유형자산 장부금액을 구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 요령이 있습니다. 최대한 편한 방법으로, 그리고 정확한 방법으로 각양각색으로 구사해서 여러분만의 비기를 만들어 보시기 바랍니다. 위 문제의 정답은 –27,000원(감가상각비 효과 및 처분 손익 효과)입니다.
오늘은 연수합계법의 감가상각, 특히 기중 취득한 유형자산의 연수합계법상 감가상각비를 구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다소 복잡하지만 기중 취득뿐 아니라, 기중에 처분했을 때의 장부금액까지 구하는 사례, 더 나아가 이러한 처분이 당기손익에 미치는 영향까지도 깊게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혼자 공부하는데 정말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잘 봤습니다~ 그러데 오류가 있어서 댓글 남겨요
미처분 자산의 2023년 감가상각비 60%곱하시는걸 누락하셨습니다.
그래서 2023년 미처분 자산의 감가상각비는 93,000입니다(155,000*0.6)
예 맞습니다. 따라서 동 거래로 인한 당기손익 효과도 수정되었습니다.
인스tv 교재 풀디가 막혔었는데, 여기 설명보고 그림그려보고 바로 이해했습니다 !!
정말 감사드려요 ^^
안녕하십니까. 반갑습니다.
귀하의 앞날에 행복과 영광만이 가득하길 기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