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중체감법 감가상각 사례(체감잔액법 정의, 상각월수 고려)

이중체감법이라는 감가상각 방법이 있습니다. 체감잔액법이라는 감가상각 방법 중 하나입니다. 오늘은 체감잔액법과 더불어 이중체감법의 정의, 이중체감법 감가상각비 및 장부금액 계상 방법을 사례를 통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체감잔액법

이중체감법 감가상각을 설명하기 전에 체감잔액법이 무엇인지에 대해 짚고 넘어가겠습니다. 이중체감법은 체감잔액법의 하나라고 서두에 이야기했습니다.

체감잔액법이란 사실상 정률법과 같은 의미입니다. 기초 장부금액에 감가상각률을 곱한 금액이 체감잔액법의 감가상각비에 해당합니다. 정률법의 감가상각 논리와 같습니다. 이 체감잔액법이 정률법과 이중체감법으로 나누어지는 것뿐이며, 사실상 체감잔액법이 정률법을 의미한다고 봐야 합니다.

이중체감법 감가상각비

체감잔액법이 정률법과 진배없다면, 결국 이중체감법도 정률법의 한 방법입니다. 이중체감법이란 감가상각비를 구할 때 기초 장부금액에서 감가상각률을 곱하는데, 이 감가상각률이 숫자 2를 내용연수로 나눈 금액입니다.

이중체감법 감가상각비
이중체감법 감가상각비

이중체감법의 이중이라는 단어는, 내용연수를 기초로 한 감가상각률이 이중으로 반영된다는 의미에서 쓰인 것입니다. 정액법과 비슷해 보이지만, 감가상각비를 구할 때 잔존가치를 고려한 상각대상금액에서 시작하는 것이 아닌, 기초 장부금액에 감가상각률을 곱합니다.

이중체감법에 따른 기말 장부금액을 구할 때, 기초 장부금액에서 감가상각비를 뺀 금액으로도 구할 수 있지만, 기초 장부금액에 (1 – 감가상각률)을 곱한 금액으로 기말 장부금액을 산출할 수 있습니다. 이때의 감가상각률은 사용 월수(상각 월수)를 고려해야 하는 것인데, 예컨대, 6월 1일 취득한 유형자산의 이중체감법에 따른 기말 장부금액을 구하기 위해서는 적용 감가상각률은 6월 1일 ~ 12월 31일까지인 7개월분에 해당하는 감가상각률입니다. 이것을 감가상각률을 [월할]하여 계산한다고 하는데, 이때 적용되는 감가상각률은 총감가상각률에서 (7개월/12개월)을 곱한 것입니다.

이중체감법 감가상각 사례

위에서 배운 내용들을 바탕으로 이중체감법과 관련된 감가상각비, 장부금액 산출에 대해서 계산해 보겠습니다. 12월 말 결산법인으로서, 유형자산의 취득이 1월 1일이 아닌 경우로 시작 해 봅니다.

이중체감법 사례
이중체감법 사례

물음1과 관련해서 2021년의 감가상각비와 기말 장부금액을 구하는 것에, 월할 상각을 해야 한다는 것을 주의해야 합니다. 물음2의 경우 역시 월할 상각 개념을 반드시 적용해야 합니다. 또한 이중체감법 역시 정률법의 한 방법이기 때문에, 감가상각비와 장부금액을 구하는데 잔존가치는 아무 쓸모 없다는 것을 명심하시길 바랍니다.

물음1의 해답은 아래와 같습니다. 2021년의 감가상각비, 특히 장부금액을 구할 때 감가상각률을 활용하는 경우 주의해야 합니다. 물론, 기말 장부금액은 전기 말 장부금액에서 당기 감가상각비를 차감하여 구할 수 있습니다만, 이중체감법을 비롯한 정률법에서는 (1 – 상각 월수를 고려한 상각률)을 활용하는 것이 훨씬 빠릅니다. 공인회계사, 세무사, 세무직 공무원 등 각종 시험을 준비하신다면 본 방법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이중체감법 감가상각비 및 기말 장부금액
이중체감법 감가상각비 및 기말 장부금액

물음2의 경우 2024년 기말 장부금액이 아닌 2024년 8월 말의 장부금액에 답해야 합니다. 핵심은 2024년에 적용할 감가상각률입니다. 8개월 치의 감가상각률만 적용되어야 하므로, 1년 치 감가상각률 0.4에 (8개월/12개월)을 곱해 주어야 8개월 치의 감가상각률이 산출됩니다.

이중체감법 기중 장부금액
이중체감법 기중 장부금액

오늘은 이중체감법에 따른 감가상각비와 기말 장부금액 산출법을 자세히 알아보았습니다. 상각률 하나만을 가지고 장부금액을 빠르게 산출할 수 있도록 하여, 기초 장부금액과 감가상각비, 기말 장부금액을 무리 없이 구해낼 수 있도록 합시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