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확정급여자산과 자산인식상한효과의 정의, 회계처리, 계산문제 사례

오늘은 순확정급여자산이란 무엇인지 다시 한번 상기하고 자산인식상한이 무엇이며 그 효과에 대한 회계처리, 계산문제 사례 등을 접해보겠습니다. 공인회계사, 세무사 시험의 단골 주제이자 합격을 가르는 문제로 등장할 수 있습니다. 확정급여제도 회계처리 기본내용 확정급여제도와 관련한 종업원급여의 기본적인 회계처리와, 재측정요소(재측정손익)의 개념과 종류를 다시 공부하시려면 아래 이전 글을 참고 부탁드립니다. 순확정급여자산 이전 글에서 서술했듯이, 순확정급여자산은 사외적립자산의 공정가치가 확정급여채무의 공정가치보다 큰 경우로서, 사외적립자산의 공정가치에서 … Read more

보험수리적손익 회계처리, 재측정요소 사례(확정급여 등)

종업원급여 파트의 기본 사례이자 세부이론을 정리하겠습니다. 확정급여채무에서 발생하는 재측정손익(보험수리적손익), 사외적립자산에서 발생하는 재측정손익(기대수익과 실제수익의 차이)과 관련된 내용을 중점적으로 다루겠습니다. 종업원 급여 기본 내용 종업원 급여의 기본 내용으로서 확정급여, 확정기여, 사외적립자산, 확정급여채무, 당기근무원가 등의 기본적인 내용을 학습하시기 위해서는 아래 이전 글을 참고 부탁드립니다. 용어 정리 – 순확정급여부채, 순확정급여채무, 과거근무원가 본격적으로 설명에 앞서, 순확정급여부채 또는 순확정급여자산 이라는 용어를 설명하겠습니다.. 순확정급여부채는 기말 확정급여채무가 기말 사외적립자산보다 큰 경우로서, 기말 확정급여채무에서 기말 사외적립자산을 뺀 … Read more

예측단위적립방식을 통한 당기근무원가, 확정급여채무 현재가치 구하기

오늘은 예측단위적립방식이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종업원급여 파트에서 다룰 확정급여채무와, 당기근무원에 대한 개념을 학습하겠습니다. 사외적립자산은 회사가 퇴직급여를 지급하기 위해 적립한 운용자금이라는 것을 떠올리고 가면 좋겠습니다. 예측단위적립방식에 따른 당기근무원가와 확정급여채무 확정급여채무는 도대체 무엇일까요? 쉽게 말해 기업이 종업원의 퇴직급여로 지급할 금액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좀 더 정확히 말하면, 종업원의 사망률, 퇴직확률, 임금 증가율 등의 보험수리적가정을 바탕으로 산출한 퇴직급여 예측치인데, 이를 다른 말로 퇴직급여 추계액이라고도 …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