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금결제형 주식기준보상 회계처리 사례(스톡옵션 차액보상, 차액결제, SARs)

주식기준보상의 형태 중 하나로, 현금결제형 주식기준보상이 있습니다. 주식결제형의 경우, 회사가 종업원에게 행사가격에 해당하는 금액을 받고, 행사 시점에 주식을 발행했다면, 현금결제형 주식기준보상의 경우 행사 시점의 주가와 행사가격의 차이인 내재가치만큼을 종업원에게 보상합니다. 현금결제형 주식기준보상의 의미 현금결제형 주식기준보상을 다른 말로 주가차액보상권 이라고도 합니다. 영어 약자로는 SARs로 Stock Apperciation Rights의 줄임말입니다. 서론에서 설명했듯이, 회사는 종업원에게 행사가격에 해당하는 돈을 받아 회사의 주식을 발행하는 형태가 아닙니다. 주식과 행사가격이 서로 오갈 것 … Read more

주식선택권의 내채가치 평가와 회계처리(공정가치를 신뢰성있게 측정할 수 없는 경우)

회사가 종업원에게 주식선택권(지분상품)을 부여할 때, 기본적으로 부여일 현재의 공정가치를 기준으로 가득 기간에 걸쳐 주식보상비용을 인식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오늘은, 부여일 현재 공정가치를 신뢰성 있게 추정할 수 없는 경우 회계처리를 공부해봅시다. 내재가치의 의미 본격적인 설명에 앞서 내재가치가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일전에 다룬 주식기준보상의 기본내용 포스팅에서 내재가치에 대해 설명하였습니다. 아주 간략하게만 설명하였는데, 좀 더 자세히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종업원이 주식선택권을 행사하기 위해서는 행사가격을 회사에 지불 해야 합니다. 주식선택권 … Read more

주식보상비용환입 회계처리(주식선택권 중도청산, 취소, 미행사, 소멸, 퇴사, 자본소멸)

종업원에게 부여한 주식선택권은 가득이 완료되기 전이나 후에 소멸할 수 있습니다. 가득 조건이 만족 되지 않거나, 이미 가득 된 주식선택권이 행사되지 않은 경우가 그 사례입니다. 이외에 회사와 종업원이 합의하여 이미 부여된 주식선택권을 취소하거나 중도청산할 수 있습니다. 주식결제형 주식기준보상 기본 내용 복습 본 포스팅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지난 포스팅을 우선 적으로 학습하고 오시길 바랍니다. 주식기준보상이 무엇인지와, 주실결제형 주식기준보상의 다양한 사례에 대한 기본적인 학습 … Read more

주식결제형 주식기준보상 문제 및 회계처리(용역제공조건, 시장조건, 비시장조건, 가득기간과 조건)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서의 계산 사례를 바탕으로 주식결제형 주식기준보상의 사례 문제와 회계처리를 공부해봅시다. 이 장의 내용을 정확히 학습하지 않으면 훗날 배울 희석주당이익 계산 사례를 접근할 수 없으므로, 철저히 학습하시길 바랍니다. 주식기준보상의 의미 본 장의 세부적인 사항을 살펴보기 전에, 주식기준보상이 무엇인지, 종류는 어떤 것이 있는지에 대해 다시 되짚어 보어야 합니다. 이전 포스팅에서 다룬 바와 같이, 주식기준보상은 주식결제형, 현금결제형, 선택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이전 포스팅에서 다룬 정말 중요한 …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