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계추정의변경(감가상각 내용연수 변경, 감가상각방법 변경, 잔존가치 변경, 전진법 회계처리)

재무제표의 자산, 부채, 수익, 비용 등이 반드시 정확한 측정치 일수 만은 없습니다. 특정 금액에 대한 추정은 매년 바뀔 수 있으며, 이러한 추정을 변경하는 것을 회계 추정의 변경이라고 정의 합니다. 회계 추정의 변경과 관련하여 중요한 사례들을 정확히 공부해봅시다. 회계추정 변경 항목과 전진법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서는 회계추정 변경이 발생할 수 있는 항목을 아래와 같이 제시합니다. ③번 같은 경우, 우리가 계속 공부해왔던, 금융자산의 공정가치가 매년 바뀌는 것을 생각해 … Read more

회계정책변경(재고자산 평가방법 변경, 원가모형에서 재평가모형 변경, 투자부동산 원가모형 공정가치모형 변경 등)

회계정책이란 재무제표의 작성, 표시의 근거가 되는 구체적인 원칙, 근거 또는 관행 등을 뜻합니다. 회계정책 변경이 무엇인지, 이전 포스팅에서 다룬 오류수정표를 활용해 회계정책 변경 효과 금액 산출, 원가모형에서 재평가모형으로의 회계정책 변경의 경우 등의 사례를 꼼꼼히 배워보겠습니다. 회계정책 변경의 의미 서두에서 회계정책이란 무엇인지 설명했습니다.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 따르면 아래와 같은 경우에 해당되면 회계정책을 변경할 수 있다고 규정합니다. 실무에 적용하는 경우, 상당히 논란거리가 될 수 … Read more

전기오류수정 회계처리와 오류수정표(자동조정오류, 재고자산과대계상, 과소계상 등 사례, 소급)

회계실무를 하고 있거나, 공인회계사, 세무사, 감정평가사, 보험계리사, 관세사 등의 고급 전문직 시험을 준비하시는 분들을 위해 오류수정과 관련된 핵심적인 내용들 만을 공개합니다. 대표적인 회계처리 오류 사항에 대해서 자산, 부채, 자본(특히 이익잉여금), 손익 계정에 영향을 미치는 금액을 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회계감사 도중의 의미 아래에서 회계감사 도중에 오류를 발견했다는 식의 표현을 꽤 많이 볼 것입니다. 이것이 정확히 어떤 시기를 의미하는지를 알아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12월 말 결산법인, 즉 사업연도가 매년 12월 31일로 …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