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생주의와 현금주의의 의미와 비교, 사례

발생주의와 현금주의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알아보고, 비교하며 사례에 적용하겠습니다. 본 장은 꼭 회계학 공부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일상생활에서 하는 투자나 관련 업무 등에서 도움이 됩니다. 가볍게 개념 위주로 이해하여 적용하시길 바랍니다. 발생주의와 현금주의 비교 어떤 기업이 2021년 1월 1일 1,000원의 매출이 발생했습니다. 다만 이 매출에 대한 대금은 6개월 후인 2021년 7월 1일 현금으로 받았습니다. 이제까지 배워온 회계처리 방법에 따르면 위 거래에서 우리가 2021년 1월 1일과 2021년 7월 1일에 해야 할 회계처리는 … 더 읽기

총액, 순액의 의미와 차이(순매입액, 순매출액)

총액과 순액의 개념과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총액과 순액은 자산의 장부금액 계산과 관련하여 의미가 큽니다. 어떤 계정과목의 순액과 총액을 구분하여 계산하는 것은 향후 배울 현금흐름표, 매출원가 등에서도 의미가 있습니다. 순액과 총액 어떤 계정과목에 대한 금액을 나타낼 때, 순액으로 표시하거나 총액으로 표시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순액은 무엇이고 총액은 무엇일까요? 여기서 또 딸린식구 이야기를 하겠습니다. 순액은 어떤 계정과목의 총액에서, 그 계정과목에 딸린식구를 반영한 순수한 … 더 읽기

현재가치할인차금 회계처리 방법, 사례(장기할부거래)

오늘은 현재가치할인차금의 의미와 회계처리에 대해서 배워보겠습니다. 할인차금이라는 표현은 사채발행 회계처리에서 익숙하게 들은 바 있습니다. 현재가치할인차금은 사채발행차금과 다소 유사하다는 점을 힌트 삼아 공부해보시기 바랍니다. 현재가치 현재가치할인차금에 대한 설명이 있기 전에, 이전 시간에 배운 화폐의 현재가치와 미래가치, 현가계수 등에 대해 다시 한번 복습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아래 이전 글을 통해 현재가치와 관련된 내용들을 참고해 보시기 바랍니다. 현재가치할인차금 의미 사채발행차금은 유효이자와 액면이자 간 차이입니다. 현재가치할인차금 … 더 읽기

유형자산 처분 회계처리 방법(장부금액의 제거)

오늘은 유형자산을 처분했을 때의 회계처리 방법과 사례를 다루겠습니다. 유형자산을 처분 시 어떤 계정과목을 제거해야하는지가 핵심입니다. 일전에 강조한 딸린 식구(감가상각누계액, 재평가잉여금, 손상차손누계액)등이 고려되어야 함을 주의하시길 바랍니다. 유형자산 처분 시점의 장부금액 유형자산 처분과 관련된 회계처리를 공부하기 전에, 유형자산의 장부금액에 대해 고찰해 봅시다. 기본적으로 유형자산의 장부금액이란 (취득원가 – 감가상각누계액)을 의미합니다. 특히 처분 시점의 장부금액을 구할 때는, 처분 시점의 유형자산의 감가상각누계액을 정확하게 구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예컨대 2021년 1월 1일 유형자산을 취득하고 2022년 6월 30일에 처분을 하는 … 더 읽기

상환할증금 의미, 계산방법

오늘은 상환할증금을 어떻게 계산하는지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상환할증금은 전환사채 또는 신주인수권부사채를 공부하면서 접해보았습니다. 사채에 붙은 전환권이나 신주인수권을 행사하지 않았을 때 사채의 만기에 지급하는 금액입니다. 차근차근 공부해 봅시다. 상환할증금 의미 서두에서 설명했듯이 상환할증금이란 전환권이나 신주인수권 행사가 없을 때 이를 보상해주는 형태로 사채 만기에 지급하는 돈입니다. 전환사채와 신주인수권부사채, 그리고 상환할증금에 대해 다시 공부하고 싶으시다면 아래 이전 글을 참고 부탁드립니다. 보장수익률과 상환할증금 계산 … 더 읽기

사채발행비 의미, 회계처리(유효이자율 변동)

사채발행과 관련하여 사채발행비용이 발생하는 경우 유효이자율은 어떻게 바뀌는지, 회계처리는 어떻게 해야 할지 알아보겠습니다. 사채발행 회계처리에 대해 이전 글들을 반드시 복습하고, 특히 사채발행비와 유효이자율과의 관계에 주의합시다. 사채발행 회계처리 사채발행과 관련하여 이전 글에 아주 자세한 회계처리 방법을 설명했습니다. 유효이자율이 무엇인지, 발행가액, 액면금액, 액면이자율(표시이자율), 만기, 이자 지급 기간, 할인발행, 할증발행, 액면발행, 사채발행차금 등 각종 기본적인 용어에 대해 아래 이전 글을 참고 부탁드립니다. 사채발행비 의미 기업이 사채를 발행해 자금을 조달하게 될 … 더 읽기

리스부채 재평가 회계처리 사례(지수, 요율, 리스료 변동, 리스기간 연장)

오늘은 리스이용자 회계처리와 관련한 특수 사례를 알아보겠습니다. 회계처리 기간 중 리스이용자의 리스부채와 사용권자산을 다시 계산해야 하는 경우입니다. 누누이 강조했던 잔존가치보증에 따라 지급할 것으로 예상되는 금액 변동이 대표적이며, 연간 고정 리스료자체가 변동되거나 리스기간이 변동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기본 전제 리스기간 도중에 리스료나 리스기간이 변동되면 리스부채와 사용권자산 금액이 변동됩니다. 그렇다면, 변동된 리스부채와 사용권자산 금액을 구하기 위해서는 미래현금흐름을 다시 현재가치로 환산해야 한다는 말입니다. 여기서 현재가치를 … 더 읽기

리스이용자의 회계처리 사례(최초인식 등)

오늘은 리스이용자 회계처리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리스이용자 회계처리는 사용권자산과 리스부채라는 계정이 사용되며, 큰 틀에서는 리스기간 종료 시점에 자산이 반환되는지 아닌지 여부로 사례를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리스이용자의 회계처리 방법론 최초 인식 리스이용자는 지급할 리스료의 현재가치를 리스부채로 인식합니다. 적용할 이자율은 내재이자율이지만, 내재이자율을 알기 어려울 경우 증분차입이자율을 사용합니다. 증분차입이자율은 리스자산의 사용권과 비슷한 자산을 취득하기 위해 돈을 빌린다면 적용해야 할 이자율입니다. 쉽게말해, 리스자산을 사용하기 … 더 읽기

운용리스제공자의 회계처리 사례

오늘은 운용리스제공자 회계처리 사례를 살펴 보겠습니다. 운용리스는 리스자산의 소유에 대한 위험과 보상의 대부분이 리스이용자에게 이전되지 않는 리스입니다. 회계처리의 핵심은 감가상각비 인식과 리스료 수익 인식이니 이를 주의하시길 바랍니다. 운용리스제공자 회계처리 방법론 운용리스제공자의 경우, 금융리스와는 달리 선급리스자산 같은 계정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운용리스자산은 순수하게 리스제공자의 것입니다. 따라서 운용리스자산을 그 성격에 따라 투자부통산, 유형자산 또는 무형자산으로 재무상태표에 표시합니다. 운용리스의 경우 리스기간 동안 수령할 총 리스료를 리스기간으로 … 더 읽기

금융리스제공자의 회계처리 사례(리스자산 반환 여부)

오늘은 리스제공자 중 금융리스제공자의 회계처리에 대해서 공부해 보겠습니다. 금융리스제공자의 회계처리는 리스자산을 반환하는지 혹은 그렇지 않은지로 나누어 접근하도록 합시다. 금융리스제공자 회계처리 방법론 금융리스제공자의 경우 자산을 구매한 후 이 자산의 사용권을 리스이용자에게 제공하게 됩니다. 이렇게 구매한 자산을 선급리스자산이라고 하며, 보통은 자산의 공정가치에 구매를하게 되므로 선급리스자산금액은 공정가치금액입니다. 이 선급리스자산에 리스제공자의 리스개설직접원가를 가산하면 리스순투자 금액이 됩니다. 이 리스순투자금액이 금융리스채권이 되며 내재이자율을 적용한 유효이자율법에 … 더 읽기